한국의 전통 과자, 약과에 대해 알아보자!
약과는 한국의 전통 과자로, 전통적인 유밀과의 한 종류입니다. 고운 체로 거른 밀가루에 참기름을 치고, 거기에 꿀과 술을 넣고 반죽하여 약과판에 찍어서 무늬를 새긴 후 기름에 튀겨 만들며, 공장제의 경우 밀가루, 식용유, 물엿, 설탕 정도의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약과(藥果) 라는 이름은 반죽에 꿀이 들어가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약식, 약주 등과 같은 맥락에서 쓰이는 단어입니다. 약과는 정월에 먹거나 통과의례나 명절, 잔치, 제사 때의 필수 음식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왕족과 귀족, 사원과 민간에서 즐겨 만들어 먹었습니다. 전근대에는 기름과 꿀이 귀해서 약으로도 취급되었기 때문에 '약'이라는 단어가 붙었다고 하며, 약과는 모약과(개성약과), 만두과, 연약과 등의 배리에이션이 있습니다. 약과라는 명칭은 반..
2024. 1. 6.